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22. 22世 〉33. <부정공>송은공휘항열(연기)묘비문(松隱公諱亢烈(淵奇)墓碑文)
1. 문헌 목록 〉22. 22世 〉35. <부정공>학생공휘명현묘표(學生公諱明鉉墓表)
1. 문헌 목록 > 22. 22世 >  
34.<부정공>송은공휘항렬(연기)행장(松隱公諱亢烈(淵奇)行狀)
孝子松隱公諱亢烈行狀 公諱淵奇初諱亢烈號松隱玉川人也我趙以高麗侍中諱璋爲鼻祖生諱洪珪進士奉翊大夫版圖判書生諱佺生員文科 贈光祿大夫玉川府院君生諱元吉號農隱官門下侍中協賛王室齊名圃冶封玉川府院君諡忠獻享武夷院生諱瑜號虔谷以麗朝副正入我 朝累徵大官終不就享謙川祠生諱崇文號竹村 端廟忠臣諡節愍生諱哲山號龜川潜心理學一遵父敎同日就義幷享謙川祠及莊陵壇生諱瓊號杜門丙子坐謫幸州 成宗朝因筵臣奏白宥還故里以終生諱繼珩通訓大夫講藝院習讀生諱信 宣廟辛未特命錄用將仕郎崇仁殿參奉生諱夢説嘉善大夫中樞府事生諱侃號野隱生諱克謙朝奉大夫軍資監直長生諱晋三求志力學遊於崔寬谷瑞琳門寔公五世以上也高祖諱基百曾祖諱鎭宗祖諱賢浩德行見稱考諱元鉉生而早孤幼被慈母之敎勵志求學聲名蔚然妣晋州姜氏㺶女以壬寅四月八日生公于五山世庄天性至孝己有扇枕懷橘之志日與兄弟四人友愛尤篤居未幾伯仲兩兄俱移居他鄉相距五十餘里是故公孝養二親志軆兼至其有不安節必憂形於色問醫劑藥靡不用極其有應驗而乃己及丁内艱哀毀踰禮如不欲生初終諸具三祥几奉不委伯仲而躬自營辦一無間言課日展墓未嘗有闕自是而繼之又繼事親一念如水滔滔自如惟一不足矣歲自乙酉五年委席臭氣襲人公暫不側潔其衣衾煖其湯劑露禱回春矣竟以天年終時己丑六月二十八日也享八十春秋亦一如前喪几奉焉日省焉服闋後奉祀于伯氏家故每當諱辰越大嶺冒風雪而必往參焉又先自李氏以至姪兒輩撫養如己出成婚執產以定厥居大節如此小節豈有不滿者乎窮者周之匱者恤之以至產致藿喪致金不問遠近親踈而必助之鄉黨稱其孝弟隣里感其恩義以丙申八月三日終聞者莫不慟惜曰孝子逝矣懸燈轝路三里相連表哀而吊之葬于所居順天住岩面廣川院洞壬坐原配晋州河氏永善女貞靜閑雅有女士行育一男即東潤也孫男英容光容龍乾曾孫仁翼辰翼也噫公素襲家庭之訓性且孝友事親悌兄無有餘憾赤手成家恤窮恤乏轉及鄉隣宜享無窮之福而云胡不壽使有志之士興其咨嗟之感也雖然往在庚寅之亂尚何忍言哉火炎衝天玉石俱焚可謂肉顫髮竦而惟公家擧族濟得渾全復見天日之明朗安堵如古若非公之孝友至致可透金石豈能如此乎是則有志之士眷眷於福善禍滛之理而可驗可證也己今其胤東潤屬余以其狀余揆以宗黨之誼又慕公之孝久矣辭非其人而不獲叙如右以俟立言君子採擇焉 歲己亥正月十六日 宗生 東勲 謹狀 효자송은공휘항렬행장(孝子松隱公諱亢烈行狀) 공의 휘는 연기(淵奇)요, 초휘는 항렬이며, 호는 송은이다. 우리 옥천조 성은 고려 시중 휘 장(璋)을 비조로 생휘 홍규(洪珪)는 진사로 봉익대부 판도 판서요, 생휘 전(佺)은 생원 문과로 증 광록대부 옥천 부원군이며, 생휘 원길(元吉)의 호는 농은이고, 벼슬은 문하시중으로 왕실을 도와 포은·야은과 더불어 이름을 가지런히 하여 옥천 부원군에 봉하였으며 시호는 충헌이요 무이원에 배향하였다. 생휘 유(瑜)의 호는 건곡이요, 고려조 부정으로 조선에서 대관으로 여러번 불러도 마침내 따르지 않았고 겸천사에 배향하였고, 생휘 숭문(崇文)의 호는 죽촌이요, 端宗때 충신으로 시호는 절민이며, 생휘 철산(哲山)의 호는 귀촌인데 이학에 마음을 써 한결같이 부명을 쫓아 같은 날에 순절하여 겸천사 및 장릉단에 배향하였다. 생휘 경(瓊)의 호는 두문인데 병자(丙子)년에 행주로 귀양 갔다가 성종조(成宗朝)에 筵臣의 주청에 의하여 방면하니 고향에 돌아와 종신하였다. 생휘 계행(繼珩)은 통훈대부 강예원 습독이요, 생휘 신(信)은 선조(宣祖) 신미(辛未)에 특별히 녹용을 명하여 장사랑 숭인전 참봉이며, 생휘 몽열(夢説)은 가선대부 중추 부사이고, 생휘 간(侃)의 호는 야은이요, 생휘 극겸(克謙)은 조봉대부 군자감 직장이며, 생휘 진삼(晋三)은 뜻을 구하고 힘써 배워 寬谷 崔瑞琳의 문하에 놀았으니 곧 공의 五세 이상이다. 고조 휘 기백(基百), 증조 휘 진종(鎭宗), 조 휘 현호(賢浩)는 덕행으로 칭도하였고, 고 휘 원현(元鉉)은 나면서 일찍 孤子가 되어 어려서 자친의 가르침을 입어 뜻을 가다듬고 학문을 배우니 성명이 울연하였으며, 비는 진주 강씨(晋州姜氏) 두(㺶)의 따님이다. 임인년(壬寅年) 四월 八일에 공을 오산 세장에서 출생하였는데, 천성이 지극히 효도하여 이미 베개 머리에 부채질하고 유자를 품을 뜻을 가지고 날로 四형제와 더불어 우애가 더욱 두텁더니 오래지 아니하여 백형과 중형이 상거 五십여리가된 타향으로 이거한지라. 공이 두어버이를 효도로 봉양하여, 뜻과 몸을 함께 기르고 혹 병환이 나시면 반드시 안색에 나타내고 의원에게 물어 약을 쓰는 등 다하지 아니한 것이 없으나, 거연히 하세하니 예제를 넘게 슬퍼하고 살고자 아니한것 같더니 초종 범절과 삼상 궤연을 백형과 중형에게 맡기지 않고 몸소 스스로 준비하여 한결같이 사이 말이 없으며 날마다 성묘를 궐한 일이 없었다. 이로부터 계속 어버이 섬긴 일념이 물후르듯 하여 스스로 오직 날이 부족한 것 같았다. 을유년(乙酉年)부터 五년을 병석에 누워 악취가 엄습하되 공이 잠시도 곁을 떠나지 않고 그 옷과 이불을 깨끗이 하고 그 약을 따뜻하게 하며 한데서 회춘을 빌더니 마침내 천명으로 고종하니, 때는 기축년(己丑年) 六월 二十八일이요, 춘추가 八十이다. 먼저 초상 때 같이 궤봉과 성묘를 극진히 하였다. 탈상 후에 백씨댁에서 봉사한 고로 항상 휘일을 당하면 큰 고개를 넘어 풍설을 무릅쓰고 반드시 참사하였다. 또 먼저 李氏로부터 조카 아이들에 이르기까지 어루만져 기르기를 가족같이 하고 성혼한 후 살림을 나 그 살 곳을 정하여 주니 큰 예절이 이와 같거든 작은 예절이 어찌 불만이 있겠는가. 궁한 자를 돕고 모자란 자를 구휼하여 산고 때 미역과 초상 때 부조를 원근 친소를 묻지 않고 반드시 보조하니 향당이 효제한다 칭송하고 이웃과 마을이 그 은의에 감사하였다. 병신년(丙申年) 八월 三일에 졸하니 들은 자마다 다 통석하여 말하기를 효자가 갔다 하고 상여길에 등을 단 것이 三리에 연하였으며 슬픔을 표하고 조문하였다. 순천 주암면 廣川 院洞 壬坐原에 장사하였다. 부인은 진주 하씨(晋州河氏) 영선(永善)의 따님으로 정정 한아하여 여사풍이 있으며, 아들은 동윤(東潤)이요, 손자는 영용(英容), 광용(光容), 용건(龍乾)이며 증손은 仁翼 辰翼이다. 아, 공이 본시 가정의 훈도를 이어 받아 성품이 또 효우하여 어버이 섬기고 형 공경함이 여감이 없고 적수로 가산을 이루어 궁한 자를 근심하고 모자란 것을 불쌍히 여겨 고을과 이웃에 미치니 무궁한 복을 받아야 마땅할 터인데 어찌 수를 못한다 이르리요. 뜻있는 선배로 하여금 그 탄식을 금치 못하게 한다. 비록 그러나 지나간 경인년(庚寅年) 동란은 어찌 차마 말하겠는가. 불꽃이 하늘에 치닫고 옥과 돌이 함께 타니 가히 살이 떨리고 머리털이 솟는다 이를 것인데 오직 공의 가족은 온 식구가 다 안전하여 다시 하늘과 일월의 명랑함을 보고 전과 같이 편안하니 공의 금석을 뚫을 만한 지성한 효우가 아니면 어찌 능히 이와 같겠는가. 뜻 있는 선비의 착한 것이 복되고 음탕한 것이 화가 되는 이치를 근념한 것을 증험하겠도다. 그 아들 동윤이 나에게 장문을 부탁함으로 종당의 의를 헤아리고 또 공의 효도를 생각하여 오래도록 그 사람이 아니라 사절하다가 청이 더욱 간절하므로 이상과 같이 서술하여 立言 君子의 채택을 기다리기로 한다. 宗生 東勲 삼가 씀
 
1. 문헌 목록 〉22. 22世 〉33. <부정공>송은공휘항열(연기)묘비문(松隱公諱亢烈(淵奇)墓碑文)
1. 문헌 목록 〉22. 22世 〉35. <부정공>학생공휘명현묘표(學生公諱明鉉墓表)